logo

한국어

게시판






MK
조회 수 1426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웹서핑을 하던 도중 여러 스위치들의 압력을 비교해놓은 글을 보았습니다.


방식은 스위치 테스터에 동일한 ABS 투명 키캡을 끼워놓은 스위치 들을 박고(청,적,갈,흑)


제조사 별로 5g 짜리 동전(우리나라 동전은 아니라더군요.) 을 얹어가며


스위치 슬라이더가 끝에 닿을 때까지 얹는 식으로 압을 재던데...


EX) 체리의 경우


흑 : 65, 적 : 45, 갈 : 50, 청 : 55


이런 식으로 나오더군요.


이런식으로 체리, 게이트론, 오테뮤, 카일 등을 비교한 것을 보면서


'각 회사마다 청 적 갈 흑 의 압력차는 5g 내외로 크게 차이나지 않고 다 거의 (일치)비슷하구나...'


하던중 댓글에서 이런걸 보았습니다..


흔히 제품 상세정보 같은 곳에 나오는 스위치 압 60g±5g 이런 건 입력점 까지 가는데 필요한 압력이고

Max (끝 까지 누르는?)압력은 80g±5g 정도이다.  압력을 얘기할때 이 두가지를 구분하지 않으면 혼동이 있을수 있다.


Max 압력이 뭔지... 그래서 스프링의 압력은 몇인지 체감이 몇인지... 잘 모르겠군요..

또 저 글을 보고 나니 스프링 압 고르는게 뭐랄까... 잘 모르겠네요 ㅎㅎㅎ


1. 입력점 까지의 압력 , 2. Max 압력 중에서

어느것이 스프링 자체의 압력이고 어떤것이 체감압을 말하는건가요?

아니면 다 다른건가요??

  • profile
    악냥이/660당 2018.03.13 04:58
    입력점(작동지점)까지의 압력과 끝까지 눌리는 압력은 표기하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체리사는 입력점까지의 압력표기이고, 끝까지 눌리는 압을 표기하는 스프링도 있습니다.
    보통 국내의 커스텀 스프링들은 (예외도 있겠지만) 끝까지 누르는 압력을 표기합니다.
    그래서 해당 스프링을 사용하고자 주문하실 때, 그 압력이 입력점까지인지, 끝까지 눌리는 압력인지를 잘 알아보고 선택하셔야합니다.

    http://cherryamericas.com/product/mx-series-2/

    위 사이트의 각 스위치별로 데이터시트가 있습니다. (PDF파일 처럼 생긴 것을 클릭)
    Pressure point force가 최대로 눌렀을 때의 키압이고, Actuation force가 입력점에서의 키압입니다.
    리니어는 해당 표의 끝이 최대 키압입니다. 흑축을 예로 가장 높은 수치인 80cN이 되겠지요.
    또한 넌클릭과 클릭류의 스위치에서의 변동점이 달라지시는 것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cN(센티미터뉴턴)을 변환하면 gf(그램힘)으로 변환 시에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미세하지만 ㅎㅎ

    결론은 체리 순정 흑축의 끝까지 누르는 압력(커스텀스프링 표기 압력)은 표에 따르면 약 80g정도입니다.

    음...질문에서 체감압이 무엇을 말하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스프링을 선택하실 때 기준을 하나만 정하시는 게 편합니다.
    개인적으로 커스텀하는 데는 스프링 자체의 압력(끝까지 누르는 압력)으로 결정하는 게 좋습니다.
    왜냐하면 보통의 커스텀 스프링은 스프링 자체 압력을 표기하고, 심지어 요즘 나오는 기성 틸리오스 스위치 같은 경우에도 스프링 자체 압력을 표기하기 때문에, 입력점은 또 따로 알아봐야겠죠.

    예외는 있습니다. 정말정말 흘러가듯이 구름타법으로 입력점까지만 스트록을 하신다면,
    입력점까지의 스트록거리와 압력 모두 생각하셔야겠지요. 입력점까지의 스트록 거리가 다른 스위치도 많습니다.

    또 덧붙이자면... 각 회사(?), 공제자등등 만드는 스프링마다 편차가 있습니다.
    55g이라고 해서 다 같은 55g이 아니라는 말씀 드리고 싶네요...

    즐거운 키보딩 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직접 타건하기 전까진 모른다는 사실 꼭 잊지 마시구요...
  • profile
    악냥이/660당 2018.03.13 05:05
    참고로 회사별로 스프링 편차가 많게는 5g 까지 납니다...
    결론은! 눌러봐요!ㅋㅋㅋ
  • ?
    NESII 2018.03.13 11:06

    사람이 키보드를 쓸 때 느끼는 스위치의 체감압력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많습니다. 

    스위치의 종류(클릭/택타일/리니어/...)는 어떤 것인지, 평상시에 스위치를 어느 정도 깊이까지 누르는지, 스프링의 특성은 어떤지, ...

    즉 개인마다 스프링을 사용하려는 스위치의 종류, 스프링을 누르는 정도 등에 따라 체감압은 사람마다 다 다릅니다.


    이중에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스위치를 누르는 정도와 스위치의 종류를 통일해서 측정한, 리니어 스위치에서 스프링의 전 구간 압력 그래프가 가장 스프링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학교 물리 시간에 스프링에는 변형 정도에 따라 힘이 선형으로 작용한다는 내용을 배웁니다.

    스위치를 분해한 사진을 보시면, 스프링의 길이가 길어서 처음에 스프링이 일부 눌려 들어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악냥이 님께서 걸어주신 링크의 PDF 파일을 보면 travel, 즉 스위치의 눌린 깊이가 0mm 일 때도 압력이 있는 걸 보실 수 있는데 이런 이유입니다.

    최대로 눌렸을 때의 압력(이하 최대압)이 80g 전후, 누르지 않았을 때의 압력(이하 최저압)이 30g 전후입니다.


    반면 제품 상세정보 등에 나오는 스위치 압은 입력점, 즉 그래프 상의 operation point 라는 지점의 압력입니다.

    이 압력은 슬라이더의 돌기가 스위치 내부의 접점부를 잇는 지점까지 누르기 위해서 얼마의 압력을 스위치에 주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값인데, 접점부나 슬라이더의 이동거리 등 스위치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문제는 커스텀 스프링에서 압력을 표기할 때는 최대압으로 표기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순정 흑축 스프링의 압력을 커스텀 스프링의 기준으로 표기하면 80g 정도가 됩니다.

    50~60g 대의 커스텀 스프링이 주로 쓰인다는 점을 고려하면, 꽤 높은 압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스프링에 따라 변하는 키감 중 최저압과 최고압 사이의 차이도 있습니다.

    같은 최고압을 갖는 55g 커스텀 스프링일지라도 최저압에 따라서 키감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좀 더 높은 최저압을 갖는 스프링이 좀 더 단단하게 눌린다고 느껴지거나 합니다.

    어느 정도나 차이를 가져올지는 모르지만, 단지형이나 피치가 다른 스프링의 형태도 체감하는 압력에 차이를 주지 않을까 합니다.

    아마 이 부분에서 공제자 간의, 회사 간의 스프링이 서로 다르게 체감되지 않을까 싶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질문게시판을 이용시 유의사항 아침에™⇔N² 2021.11.30 990
5034 아티산 한번 만들어볼까 하는데 툴(형틀)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2 dagire 2019.03.12 243
5033 아트키 아티산 토프레 스위치에 장착되나요? 2 북개 2023.05.06 105
5032 아트키 가입하려는데 username 에 r/mm or discode/GH 이 뭔가요 2 세모랑 2019.12.07 200
5031 아트박스축 사용중이신 분들께 여쭙니다. 5 @Jaru(장성철) 2020.09.16 151
5030 아트박스(카일박스)축 led 2 file asd1122 2019.02.14 162
5029 아크릴하판,아크릴보강에 끼워줄 넌클릭 스위치가 어떤종류가 있을까요 ..? 5 뚱이몬 2020.04.06 169
5028 아크릴하우징 탭핑 질문드립니다. 11 Revodono 2014.07.19 1312
5027 아크릴하우징 상판 재질 질문이요 3 니나노 2015.04.07 1281
5026 아크릴하우징 도면 문의드립니당 7 file EoR 2018.04.03 307
5025 아크릴하우징 나사구멍이 커서 나사조임이 안될때... 4 스피노자 2014.04.30 2003
5024 아크릴하우징 2 djsg1036 2017.12.14 547
5023 아크릴판 부착 어떻게 하나요? 2 vpsxja94 2018.08.01 453
5022 아크릴키보드추천해주세요 3 GhostBehindYou 2020.03.20 172
5021 아크릴키보드 제작관련 운동중독자 2021.02.22 115
5020 아크릴커스텀 하판RGB가 이상해요 ㅠㅠ 11 file 스익스 2019.12.27 133
5019 아크릴커스텀 상판 두께 어느걸 선호하시나요? 4 빈츠또또 2019.01.07 292
5018 아크릴커스텀 보강판 질문드립니다. 2 님은인간 2017.04.21 1668
5017 아크릴접착제 일회용인가요? 2 kupaeto 2018.08.14 145
5016 아크릴을 광확산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1 Revodono 2014.11.25 1893
5015 아크릴샌딩에 관한 질문 3 file JackAss* 2014.01.11 5472
Board Pagination Prev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457 Next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