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게시판






조회 수 1198 추천 수 4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키보드를 하다보면, 자주 혼동하는 것이 있습니다.

스프링을 대체하는 러버돔 기판을 대체하는 멤브레인그리고 방식과 입력되는 인식차에서 오는 혼용입니다.

이번 글은 이 부분에 대해서 언급하려고 합니다.

여러모로 부족한 부분이 많으니, 댓글로 내용을 채워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멤브레인

기계식에 처음 입문한 사용자들이 쉽게 협오하거나, 비하하는 방식이 바로 멤브레인 입니다.

기존에 사용했던 싸구려 멤브레인에서 대부분 문제를 느껴왔었기에, 모든 멤브레인 방식에 대해서는 비판적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멤브레인 방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키보드에서 멤브레인은, 기판 대신에 저렴하게 대체할수 있는 유일한 방식입니다.

패턴이 그려진 얇은 막이 눌리며 인식되기 때문에, 기판에 비해서 얇고 가볍게도 제작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기판의 평면적인 형태에서 벗어난, 곡면적인 디자인이 가능한 장점도 있습니다.

금속접점을 사용하는 기계식에 비해서, 입력 신뢰도가 떨어진다고도 평가되지만

설계수준이 높은 제품이라면, 크게 문제는 없는 편입니다. (예: 수십년 사용해도 멀쩡한 버클링, 체리 MY방식 등)

때문에 저가의 보급형은 구입가격에 비례하면 설계수명만큼 사용하고 있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멤브레인은 바닥에 겹쳐진 시트가 눌리면서 인식되는 특징으로, 깊게 누르는 버릇이 자연스레 생깁니다.

이 부분은 다음에 설명하는 러버돔과의 조합으로 더 큰 문제를 만듭니다.



# 러버돔

각 키마다 독립적인 스위치를 사용하는 기계식보다 일체형 고무 시트가 만들어지면서 공정이 단순해졌습니다.

이 부분은 100여개의 기계식 스위치를 이식하는 단가보다 매우 저렴하게 키보드를 만들수 있었으며

금속스프링을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발견이었습니다.

하지만 러버돔 키보드에서 탄소접점과 기판, 정전용량방식을 사용할때만해도 그럭저럭 괜찮았으나

제작단가를 이유로 싸구려 고무나 퀄리티가 낮은 멤브레인을 만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키보드의 가격은 매우 저렴해졌지만, 저렴한 공정은 추가적인 단가절감도 같이 불러왔으며

탄성이 덜하거나 손에 저항감이 느껴지는 고무가 사용되면서, 내구성과 함께 키감도 추락했습니다. 


물론 러버돔 키보드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설계가 계속되긴 했습니다.

현재의 러버돔+멤브레인 키보드는 거의 최고수준의 설계까지 오긴 했습니다만

단가 절감을 이유로, 높은 수준의 키보드가 없는 실정입니다.

게다가 LED가 내장된 키보드가 유행처럼 번짐으로, 최근에는 안보이는 부분의 단가절감이 심각하고

필요 이상의 가격으로 측정되어 판매되기도 합니다.


멤브레인과 러버돔 방식을 따로 구분해서 본다던가, 괜찮은 수준의 설계와 원재료를 사용했다면 의외로 괜찮습니다. 

보통 등급의 멤브레인 시트가 100만회 수준의 내구성을 가졌다지만, 실제로는 수년넘게 멀쩡한 키보드가 존재함으로

높은 설계 등급에 따라서는 500~1000만회에 가까운 수준이 아닐까 예상도 합니다.


문제는 방식상 바닥까지 꾹꾹 눌러줌으로 인해서, 멤브레인에서 사용되는 러버돔은 피로도가 쉽게 증가합니다.

기본적으로 토프레나 키트로닉, BTC, NMB에서 사용하는 고무는 내구성을 위한 표면처리까지 되어있는 상태라서

러버돔의 경화가 적고, 메인키보드로 사용한다면 수년간 사용해도 문제는 없지만...

최하 몇천원에서 유통가격이 올라가는 보급형 키보드에서는 러버돔의 경화문제가 꽤 심각합니다.



#러버돔=멤브레인? 멤브레인=러버돔?

공정이 단순한 러버돔과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한 멤브레인 키보드가 많아서 

그렇게 느껴질수도 있으나,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정전용량 방식이 있습니다.

비교적 쉽게 접하는 토프레 정전용량무접점을 이유로, 정전용량=러버돔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버클링 방식중에서도 흑연판을 사용한 정전용량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비교적 최근에 공개된 F62와 F77도 버클링 방식의 정전용량 키보드입니다.


또 다른 이야기를 하면 모델엠 이후로 버클링 방식은 멤브레인입니다.

84년 후기~85년부터 시작된 모델M은, 모델F에서 사용하던 버클링 방식을 유지하였지만

n-key rollover가 지원되는 정전용량 대신에, 일반적인 멤브레인으로 대체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이핑 신뢰성이 뛰어나서, 현재도 80년대 모델엠을 실사용 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체리의 G81, MY키보드도 마찬가지로 멤브레인입니다.

러버돔이 들어가지 않았고, 기계식 스위치처럼 각 키마다 코일 스프링과 판스프링이 내장되었지만

기본적인 인식과 입력은 멤브레인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기계식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정전용량은 멤브레인인가?

매우 잘못된 정보중 하나는, 러버돔을 이유로 멤브레인으로 분류한다는 점입니다.

멤브레인은 시트가 눌려야 입력되는 것에 반해서, 정전용량무접점은 접점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실제로 멤브레인 시트도 존재하지 않으며, 무접점 기판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인식이 축전량에 따른 입력이기 때문에, 바닥까지 누를 필요가 없고 접점에 따른 에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금속접점을 사용하는 기계식보다도 입력오류가 거의 없다는 부분이 큰 강점입니다.


만일 기계식의 장점을 칭찬하고, 정전용량계열을 비판하고 싶다면 러버돔이라는 공통된 부분을 비판해야지

멤브레인이라며 언급하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토프레의 정전용량무접점은 러버돔과 함께 축전량을 담당하는 전극스프링이 키감이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키트로닉이나 BTC의 알루미늄 박막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BTC의 경우에는 멤브레인과 정전용량의 차이없이, 러버돔이나 코일스프링 구성이 모델마다 다른 편입니다.



#플런저와 펜타그래프

최근에는 키캡에서 슬라이더 역할을 하는 실린더를 제거하고, 러버돔 방식의 멤브레인 키보드에 도각임을 위해서 플런저를 삽입합니다.

플런저를 이용하여 각 키마다 따로 구조물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약간은 키감의 상승도 있을 수 있습니다.

반 기계식이라는 표현은 마케팅적인 표현이므로, 과거에는 플랜저 방식을 따로 언급하지 않았던 멤브레인 키보드도 많았다는 점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펜타그래프도 대표적인 멤브레인 키보드입니다.

키보드를 가능한 얇게 구현하기 위해서 X자 모양의 구조물과 얇은 키캡, 작은 러버돔의 구성은 지금도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랩탑 컴퓨터에서 자주 적용되기도 하고, 저음성이나 짧은 스트로크로 인한 특징은 멤브레인이였기에 가능했다는 점을 꼭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Who's 루습히

profile

덕은 외롭지 않으니, 반드시 이웃이 있다.

  • profile
    다영이곰 2016.04.01 06:57
    머리속에 이해가 속속 되네요.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Clementine 2016.04.01 07:59
    출근길에 읽고있습니다 ㅎㅎ
    좋은 글 매번 감사합니다.
  • profile
    @재민아빠 2016.04.01 08:16
    좋은 글 입니다. 멤브레인 구조와 방식을 세분화해서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같습니다. 다 읽고 추천 !!
  • profile
    밍군 2016.04.01 10:11
    정독 했습니당~
    추천!!
  • ?
    키보드구입/전과1범 2016.04.01 10:28
    읽었는데 이해를 했는지 확신이 안서네요. ㅋㅋ
  • profile
    duck0113 2016.04.01 11:17
    가격으로 구분합니다..ㄷㄷㄷ
  • ?
    Tennant 2016.04.01 11:29
    예전에도 멤브레인 러버돔 키보드에서 키캡+슬라이더의 분리형은 있던 방식인데 플런저 키보드 마케팅하는거 보면 웃기지도 않지요. 쇼핑몰들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대표 상품 설명 이미지를 보면 '기계식' 언급이 정말 많이 나옵니다. ㅎㅎ
  • profile
    Kyo 2016.04.01 12:47
    접점방식과 작동기는 독립적인 요소인데 오해하고계신 분들이 주변에 상당히 많습니다.
    물론 전 설득하기를 포기하고 그냥 혼자 알고 있습죠 ^^;;
  • profile
    이노 2016.04.01 17:52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 ?
    Mivv 2016.04.02 02:16
    감사합니다!
  • ?
    BIBIBIG 2016.04.02 08:45
    소중한 글 잘 읽었습니다.
  • ?
    코드버드 2016.04.04 03:09
    완독 후 추천 드립니다. 읽고 나서 지식레벨UP한 기분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22년 7월 1일부로 회원 정리 안내 12 아침에™⇔N² 2022.06.09 3365
공지 키보드랩 이용규정 아침에™⇔N² 2021.11.22 3590
공지 [공제/공구] 가격/품목 등 정보 61 철혈마제 2015.03.09 36466
공지 키보드랩 사용주의사항. 11 duck0113 2014.06.03 40434
2128 1800 배열 키캡 뭐쓰시나요? 21 file 치명적까마중 2016.12.16 1361
2127 아 만지고 싶고... 12 앤죠 2016.04.20 1361
2126 몇년만에 미쿡 아이튠즈계정으로 들어갔다가.... 4 뚜비뚜비뚜뚜바 2014.06.03 1361
2125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에 살만한게 있을까여???? 9 스타택옹 2015.10.01 1360
2124 Hen님이 이벤트 진행해주신 다크소울2 수령 인증 3 file RedZin™ 2015.10.05 1359
2123 Time TKL 실물 사진 21 file 산나물 2017.10.22 1358
2122 카일 스피트 스위치 골드. 사용기 3 file benkei 2017.05.04 1357
2121 오늘 돌치 스카이 키캡을 받았습니다...그런데... 11 개나소나 2016.03.23 1357
2120 잘 놀다 갑니다. 16 file 재아 2018.09.08 1356
2119 제품 견적을 회원님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11 초보커스텀 2016.06.16 1353
2118 건프라가 다가 아니다... 6 뚜비뚜비뚜뚜바 2014.06.17 1352
2117 GMK는 너무 높은벽이네요.. 6 Tab 2016.12.26 1350
2116 SA 가 SP 최초의 키캡 프로필이었군요. 3 Tennant 2017.04.20 1349
2115 축 정체성을 꺠달았습니다 11 희후니 2016.12.16 1349
2114 매스드랍에 포커배열 우드 하우징 떳네요 3 언쟁 2016.11.04 1349
2113 재민아빠님의 윤활 플레이트.. ^^ 2 file 홀릭 2016.01.27 1349
2112 인증샷... 15 file @재민아빠 2016.01.09 1348
2111 체리 G80-3000 + 엔승 레드키릴 타건영상 3 신발날리기 2016.02.06 1348
2110 폭풍님 이벤트 수령샷 2 file LifeZone™ 2015.01.06 1347
2109 유니콘 잘 받았습니다! 4 버밀리언 2014.12.04 13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