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게시판






조회 수 4989 추천 수 1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오늘 가만히 자판기를 보다가 옛 커스텀 키보드에 대하여 물어보는 분이 계셔서 시간내서 자료 찾아가며 글을 써봅니다.

제가 직접 만져보지 못하고 블로그와 과거 장인들의 글을 본문 그대로 퍼와봅니다.?

커스텀에 입문한지 얼마안되었지만 자료를 찾아보며 참 많은 생각이 드는 시간이었습니다.


-> DK Cherry Winkeyless


1644E644500D67D736DCA5



1511C43C500D67D8129D65



111A7437500D67D8166B9F


20786C36500D67D806E8E4


18717E38500D67D815FBF0


또각또각님과 뀨뀨님이 만들었던 또뀨 시리즈의 그 두 번째.
또뀨 시리즈는 항상 넌클릭을 지향해왔으며 그 중에서도 체리의 갈축 넌클릭을 사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제작이 되었었다.
최초에 블랙 윈키의 또뀨가 나왔을 때 높은 가격과 재료구비의 어려움과 '첫 번째' 라는 인식의 기반이 부족한 탓으로 50여대가 제작이 되었었다. 이 후 사람들의 커스텀 키보드에 대한 열망을 안고 윈키리스가 나왔을 때 인기는 굉장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구형의 체리 컨트롤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 컨트롤러가 당시 주력 운영체제였던 윈도우 XP 서비스팩3가 나오면서 이와 호환이 안되어서 패치가 나오는 사태까지 발생했던 키보드.
멀쩡한 구형 3000윈키리스들이 희생양이 되어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블랙 윈키리스를 만들었던 사람들은 1800을 재료로 삼으면서 우측 쉬프트키가 없어서 품귀현상을 빚기도 했었다.
아노다이징된 샴페인 골드의 색상이 체리의 베이지색 이색사출과 가장 잘 어울렸던 색상으로 기억에 남아있다.
다만 측면색이 제 빛을 잃어가거나 변색되는등, 하우징이 긁힘에 약한 것들과 내부의 간이보강판은 스위치를 다시 걷어내거나 할 때 기존 또각또각님이 제작해오시던 보강판과 마찬가지로 긁힘에 무척 약하다는 단점을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 DK ALPS Winkeyless


15112837500D67D8261953



14686433500D67D818894E



1321E546500D67D908783C



116B3C40500D67D9054388



1673B738500D67D9049D82



1953AF45500D67DA0CD8B3




커스텀 키보드를 만들면서 가장 제작자들을 어렵게 만들었던 것이 아마도 컨트롤러의 원할한 수급이 어렵다는 것이었던 거 같다. 체리의 신형이나 구형 컨트롤러들이 항상 그래왔는데 이 점을 극복하고자 삼성의 DT-35 멤브레인 키보드에 들어가던 컨트롤러를 사용했었던 키보드.
기반이 알프스 스위치를 사용함에 DK 시리즈중에 유일하게 풀보강판이 사용되었고 보강판에 부분적이지만 절곡을 도입했기도 했었다.
알프스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가장 다양한 스위치 형태의 커스텀 키보드가 되었으며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과 성향이 잘 드러나게 만들었던 키보드로 기억한다.
아쉬웠던 점은 DK 시리즈를 상징하는 'F13' 키의 자리에 체리 시리즈와는 달리 LED홀을 만들어두지 않아서 기판에 구멍을 뚫거나 하지 않는이상 개인적 취향의 LED사용등을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점과 하우징의 아노다이징 색상이 은색으로 DK ALPS Winkeyless를 만들면서 기반이 되는 키보드로 여러가지를 테스트한 끝에 SGI를 선택하였는데 이 SGI의 키캡색상과 지나치게 어울리지 않는 색상이 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이 은색의 색상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절대적으로 일방적 선호함은 존재할 수 없으므로) 개인적으론 가장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 DK Cherry Winkey


193E1435500D67DA1A397C



1937ED45500D67DA322779

1942CF33500D67DA2D0DED



20186743500D67DA07C8BE



1762FE3C500D67DB2A80B9



13309735500D67DB2911CE



18650244500D67DB02155E



15381733500D67DB320B6F


체리의 신형 컨트롤러를 다시금 채택한 키보드.
마지막으로 진행되었던 DK 시리즈 일환으로 구형의 블랙 DK Winkey와 내부호환은 안되지만 블랙 윈키를 원했던 이들에게 열렬한 지지를 받았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특히나 최초의 블랙 윈키의 인기가 굉장히 높았던 때기도 하였고, 희소성으로 인해 가격도 높게 거래가 되던 때라 사실상 복각에 가까운 두 번째 블랙 체리 윈키는 환영받지 않을 수 없었기도 했다.
당시 함께 진행했던 ALPS Winkey는 필코로 잘 알려진 Diatec사의 Zero를 사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했고, 체리의 윈키 보강판과 기판만을 추가 구입하여 보강판을 살짝 손보면 호환될 수 있게 만들기도 했었다.
최후까지도 갈축 기반에 간이 보강을 고집하였으며 사용자의 다양성에 발맞추기 위해 풀보강을 옵션으로 채택하지도 않았고, 전체 또뀨시리즈를 통해서 하우징 표면처리나 기타 마감등이 진보하지 않고 답습을 거쳐왔다는 것은 또뀨 시리즈의 한계이자 치명적 단점으로 생각한다.
물론 F13키를 마련하여 매핑을 통해 원하는 키를 쓸 수 있게 했다는 점과, F13키를 두면서 전체 문자열과 우측의 편집키와의 간극과 상단의 펑션키와 문자열과의 간극과 ESC키와 펑션키 그룹들 사이사이의 간극등을 동일하게 맞추었다는 점은 하우징의 미학적 측면에서 가장 높이살만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DK 시리즈 전체적으로 각 그룹들의 간격이 너무 작아서 쓰기에 불편하다는 사람들과 F13키를 두면서 살짝씩 차이나는 펑션키의 위치들이 기존에 쓰던 키보드들과 일치하지 않음에서 오는 불편을 호소했던 사람들도 있었던 만큼 좋고 나쁨이 극명하게 갈렸던 커스텀 키보드군으로 이제 커스텀 키보드의 역사안에서 자리할 것이다.
다시는 이제 나오지 않을 것이기에..



-> 356L (Black Winkey 60 Limited Edition)


153D6937500D67DC1D150C



18119445500D67DC170BFA



137DAD42500D67DC07EA6A



1743CC34500D67DC09CE4F



1775BB33500D67DC16E352



165B0E3F500D67DD190F12



1138D236500D67DD0FE1D9


인터넷도 할 수 없었던 어느 시골의 공장 기숙사에서의 밤을 잊지 못하게 만드는 키보드.
60대라는 한정된 수량과 DK시리즈와는 급이 다른 하우징의 완성도와 풀보강판의 매력등으로 당시 공구게시판을 뜨겁게 달구었던 356 시리즈의 맏형.
인터넷을 할 수 없기에 다른 회원분께 부탁해서 공구에 참여해 달라고 했었고, '안되면 할 수 없지'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60명 안에 포함이 되어 너무나 들떴었고 밤새 흥분의 여운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던.. 많은 기억들이 녹아있는 키보드.
흰색의 기판이 주는 산뜻함과 풀보강판에 리니어를 사용하기를 바랬던 제작자의 바램이 녹아있는 코드기호 356L.
흔히 표현하는 한방재료를 쓸 수 있도록 당시 나온 체리의 PS/2 & USB콤보 방식의 윈키 3000에 들어있던 콤보 컨트롤러를 사용하였다는 점과 컨트롤러를 기판에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plug&play방식으로 꽂아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이 혁신적이었었다.
또뀨 시리즈가 보강판을 하우징에 걸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면 356 시리즈는 보강판을 하우징에 나사로 결속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나온 전체 커스텀 키보드중에서 유일하게 USB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트북 사용자들의 지지를 많이 받았었으며 각진 DK의 하우징보다 둥글게 마감된 하우징과 무거운 키보드를 선호하는 이들에게 당시로선 매우 묵직한 느낌을 선사했던 중량감까지.. 그리고 소장욕구를 자극하는 보강판과 하우징에 각인된 한정판 일련번호까지...
매우 세심하게 배려되었으며, 오랜 노력끝에 나온 것임을 알 수 있게했다.
그러나, 애초 계획된 통짜 하우징 (옆면에서 봤을 때 두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하나로 보이게 만드는) 대신에 하우징 밑면으로 삽입되었어야 했던 하판이 두 개의 조각으로 나뉜 하우징의 일부가 되었다는 점과 애초 설계에서 하판을 삽입하는 형태로 만들 수 없게 되었을 때 급하게 하우징의 두번째 파트로 변경하면서 상부 하우징과 매칭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점은 356L의 가장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이 부분은 컨트롤러의 두께 판단 실수로 급하게 디자인 변경을 하면서 나타난 문제로 아는데 최초의 제작자 의도대로 통짜 하우징을 기대했던 기대감을 살짝 실망감으로 바꾸기도 했었다.
그런 실망감을 제외한다면 그 어떤 커스텀보다 소장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키보드라고 생각된다.



-> 356N (White Winkey)


1312AC3C500D67DF1244B7



15735842500D67DF0A51E5



1301F03A500D67DF3835EB



18394D36500D67DF315598



137C5E3D500D67DF2A77F2



132D303B500D67E02A250C



16780740500D67E01170CB



356L이 나온지 얼마 되지도 않았던 시점에 갑자기 새로운 버전의 356이 나옴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던 키보드.
아마도 그런 이유로 신청자가 가장 적었을 것이며 전체 커스텀 키보드중에서 가장 적은수가 제작이 되었고, 희소성면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키보드가 되었다.
급하게 새로운 키보드를 내놓은 것은 당시에 리니어에 만족하지 않았던 회원들의 넌클릭에 대한 열렬한 바램을 빠르게 만족시키고자 함이었다고는 하나, 사실은 356L의 키감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 제작자께서 공방의 수준을 보여주고 말리라던 야심찬 오기(?)가 발동하여 내놓은 것으로 아는데.. 물론 믿거나 말거나..
356L 때보다 더욱 둥글게 마감된 끝단처리와 무엇보다 현재로선 처음이자 마지막의 통짜 하우징을 지녔으며, 넌클릭을 위하여 DK의 간이보강을 계승하였지만 키감 향상을 위하여 미세하게 가공하기 그 어렵다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보강판으로 사용하는등.. 제작자의 열정과 노력의 끝을 보여줬던 키보드로 기억된다.
기판과 보강판의 상하좌우 끝부분의 키감이 이질적이라는 판단으로 사용된 기판면과 보강판면 사이를 채우는 고무링의 첫 사용과 빨간색의 정열적 기판색상이 뛰어났으며, 넌클릭에 촛점을 맞춘바 얇은 키캡과 체리 갈축에 키감의 최상급을 이끌어낸다는 의도로 조립 부속으로 첨부됐던 빨간색의 윤활액은 이 키보드를 개인적인 기억으로 최상급의 키감으로 기억하게 만들었다.
조립시 스위치와 기판의 싱크율이 환상적일 정도로 최상이었으며, 넌클릭을 위해 마련된 기존 사용하던 기판보다 더욱 얇은 1.2T 기판의 사용은 인상적일 정도로 좋은 키감을 만들어냈었다.
더불어 기존의 것들이 기판면과 하우징면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했다면 356N은 내부에 각을 준 상태로 가공을 해서 자체적으로 스텝스컬쳐를 형성했다는 점 또한 356N의 특별함이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홀텍사의 628A 컨트롤러를 사용하면서 BackSpace키의 키 매핑을 잘못하여 윈도우 OS에서는 별 상관없이 사용되지만 리눅스등의 타 OS에서 사용하려면 BackSpace의 패턴을 절단하고 원래 키값으로 컨트롤러에서부터 와이어링해야 한다는 점은 옥의 티처럼 아쉽게 남아있다.
옵션으로 클릭 키보드 사용자를 위해 풀보강판 신청을 받았었으며, 하우징 마감을 크롬도금 마감도 받았었지만 신청자가 두 명 이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나마도 한대는 까탈스런 어떤 회원분께서 반품을 해서 장터로 풀렸었던 비운의 크롬도금 356N은 적은 수량으로 희소성의 가치를 인정받는 356N 중에서도 더욱 희소적 가치가 높은 키보드일 것이다.?



-> 356CL (GunMetal Winkeyless)

1309EE3A500D67E0047FAB



1137CC33500D67E00C12AE



16429E45500D67E030711E



180DC53E500D67E237CEEC



2033E93A500D67E31FB476



15416839500D67E31FCA23


1338C338500D67E30B0685



2074443F500D67E3145CE6



16331C3E500D67E323EA22


155BD140500D67E324E03E



182B6B40500D67E41AECF5



1778C134500D67E4033A8B



141A063F500D67E4036758



18757C38500D67E4165487




356N 이 나오고 꽤 오랜 시간이 지나서 공개된 356CL은 우주최강의 퀄리티를 보여주겠다던 제작자의 과도한(?) 집착 탓이었을까.. 많은 비운을 겪었었다. 가장 최근의 커스텀 키보드기에 그 비운의 시간은 모두 함께 기억하고 있으리라 생각된다.
상판 하우징이 불량 자재가 쓰임에 따라 이를 전량 재가공하면서 사상초유의 금전적 손실을 제작자에게 안겨주었으며 이로인한 탓인지 상판과 하판의 색상차의 이질감도 지금까지 나온 키보드들 중에서 가장 큰 편이다. 상하판의 색상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는 업체가 없다고는 설명 들었지만 차라리 GunMetal 단일색상이라고 말하기보다는 투톤의 건메탈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어울릴 것 같다는 개인적 생각을 담게 만든다.
윈키리스는 하지 않겠다던 과거의 입장을 번복하면서 내놓은 버전이라서 불운이 더 따랐던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여튼 기존의 커스텀 키보드들이 직사각형의 디자인에 높이를 주기위해 둥글게 다리를 달아서 붙여왔던 디자인에서 탈피한 것은 좋았지만 하우징 디자인이 공개됐을 때 주변에서 기존의 것들과의 이질감 때문인지 거부감을 표했던 사람들도 다수 있었던 기억이 난다.
무엇보다 356CL에 열광케 했던 것은 하판의 내부에 삽입되던 황동키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무게감을 늘리기 원하던 사용자들의 입장을 반영함과 동시에 차별화된 특별함을 주었던 황동키의 삽입은 당시에 게시판에 올라온 샘플 사진을 보고 또 보게 만들기도 했었다.
황동키의 삽입 덕분일까.. 가격이 꽤 올라가긴 했지만 제작 완료 후 다들 만족해 하는 분위기 같다.
아쉬운 점이라면 조립시 기판과 스위치의 싱크율을 너무 높인 탓일까.. 과한 것은 모자람만 못하다는 옛말이 생각나게 만들었다. 완벽일치라고 하기 보다는 지나치게 타이트하게 만들었던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조립이 이렇게 힘들다면 좀 여유를 두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것은 조립시 기판과 보강판이 u자 형태로 휘어짐을 야기시켰으며 지쟈스님의 조립매뉴얼에서 나와있듯이 중앙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스위치를 땜해나가지 않을시 문제점을 야기시키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조립하면서 평소처럼 사방 끝단의 스위치를 땜해서 기판과 보강판을 고정시킨 후 맨 상단열부터 땜하던 방식으로 땜을 하다가 이렇게 하면 조립하기 정말 힘들다는 판단이 들었고, 지쟈스님이 왜 가운데서부터 바깥쪽으로 땜하라고 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미 해둔것을 다시 뜯어내긴 힘들어서 상단열을 마무리 지은 후 중앙부부터 땜해서 바깥쪽으로 나가니 끝단에 스위치가 이미 땜해져있는 스위치의 바로 옆에서는 기판이 사실상 미세하게 땡겨지면서 땜을 한다고 할까.. 그렇기에 최종 부분에서 모자란다는 기분이 들었다. 스위치가 삽입이 안될 정도였으니.. 결국 기판과 스위치를 뻰치로 눌러서 억지로 삽입하는 사태를 발생시켰다.
조립매뉴얼을 무시했기에 맞닥뜨린 힘겨운 사태였지만 356CL의 벨류버전 기판에서는 좀 여유를 두었으면 하는 작은 바램을 가져보게 만들었다.
옵션으로 블랙색상의 하우징을 선택할 수 있게 했으며, 보강판을 폴리카보네이트 간이보강판으로 선택할 수 있게 했었다.



-------------------------------------------


익숙함이란 얼마나 위대하면서 위험한 것인가..
익숙함은 기존의 것들에 대한 기억적 안주를 의미함일 수 있고, 정체와 답습을 의미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익숙할 수 있으면서 사람들의 마음을 잡아끌 수 있다는 것은 위대함이며, 반복이라는 측면에서 나아감을 버리고 취하는 영광이기에 위험한 것이리라.
커스텀 키보드들은 익숙한 것일까, 익숙함을 버리고 진보와 미래를 선택한 것일까..
아마도 그것은 시간만이 답해줄 수 있을 듯 하다.
오랜 시간을 투자하여 만들어낸 커스텀 키보드가 올려진 우리의 책상위 풍경은 시간만이 허락할 수 있는 풍경일 것이고, 타인과의 차별을 통해서 좀 더 특별해진 자신의 마음을 얻는 효과를 거둘것이다.
지금은 이제 겨우 만들어지고 사용되어지기 시작한 시작점일 뿐이다.
만들어낸 키보드들은 먼 시간이 지나면 미니멀리즘을 향한 예술품으로써의 가치를 지닐 수도 있고, 그저 무거운 쇳덩어리가 될 수도 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최신은 언젠가 향수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과거를 미화할 것도 없고, 최신을 천박하다 할 것도 없다.
정말 중요한 것은 자신의 내면이 가진 깊이를 아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만화책에서 발견한 문구지만 이 문구는 이런 상황에 매우 명징하게 적용된다.
'사랑을 하면서 알게 되었다. 자신의 간사함과 욕심의 깊이를 (miyasaka kaho <우리는 알게 되었다> 중에서)'
키보드를 사랑하면서, 커스텀 키보드를 만들어가고 소장해가면서 우리는 이 정도면 됐지라고 말하면서도 속으로는 더욱 좋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의 간사함을 본다. 남들보다 하나라도 더 소장하고 싶은 욕심의 끝없는 깊이를 느낀다. 그러면서 인체공학 커스텀 키보드가 정말 나오기를 꿈꾼다.
진실로 커스텀 해야 하는 것들은 무언가를 사랑할 때의 마음자세임을 오늘 이 글을 쓰면서 새삼스럽게 느끼게 된다.


172E2835500D67E530747D

커스텀 키보드들은 키보드 속의 키보드이다. 사람들이 많지만 사람들 속에 출중한 사람들은 한정되어 있듯이 키보드를 선호하면서 키보드매니아라는 그 정체성 확립을 위해, 키보드 속의 키보드를 위해 뭔가 남들과 다른 키보드를 원하니 그 대상이 된 것이 세이버가 아닐까 싶다.
과거 또뀨의 독주속에서 356시리즈가 나오면서 경쟁체제로 돌입하는듯 했고 이것이 앞으로 더 나아가는 원동력의 구도가 되기를 희망했지만 다시금 독주체제가 되었다. 다만 시간이 쌓여 이제 사람들 개인간의 소소한 커스텀 제작이 활성화 된 듯 하고 그 만듦새도 감탄을 자아낼만큼 훌륭해지고 있으며 초창기 개인적 커스텀들인 아크릴을 뛰어넘어 목재등으로 다양하게 변주되고 있다.
문제는..
커스텀 키보드들이 만들어지지만 기본 키보드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modern의 근원적 의미는 전통적 가치관에 반한 '낯섦'에 있고 그 말의 의미가 세월을 거슬러 오며 '현대적' 이라는 사전적 의미로 빈번히 사용되지만 과거 모던의 의미를 낯설다는 것으로 사용하고 받아들였던 구시대의 사람들처럼 진정 우리에게는 우리만의 모던함이, 우리만의 낯섦이 나타나기를 기대해본다.
정말 커스텀 키보드라고 불리우는 이것들은 지금 이 시대에 굉장한 것임에 분명하지만 파격으로 받아들여질 충격은 아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디자인적으로, 기술적으로 미래의 사람들을 위해 지금 빚어내는 전통을 준비하고 지금을 끌어안으며 미래의 낯선 충격을 지금 여기로 가져오길 희망해본다.

돌고돌아 결국 책상위에 놓일 키보드는 어떤 것일까?
유행을 쫒아 헤매이던 방랑자의 책상위..
달관의 경지에 오른 그대의 키보드는 어떤 것일까?

1341053D500D67E5340F84





## Sursum Coda

지금까지 등장했던 커스텀 키보드의 전체는 아니지만 다수의 키보드를 등장시켜서 몇 가지 생각들을 적어봤습니다.
횡설수설하고 허접한 글쓰기인데다 무엇을 얘기하고 싶어하는지 저도 잘 모르는.... 거기다 경어체를 쓰지 않았던 것은 일부러 의도함이었는데.. 기분 나쁘시지 않으셨길 바랍니다.

키보드가 키값을 입력하는 도구일 뿐이라면 그것을 설명하는 언어도 분명 한계점에 부딪힐 것입니다.
사용기를 쓰는 이들이 맞닥뜨리는 장벽또한 발상의 전환을 가져오지 못한다면 동어반복의 함정에 빠지는 것임을 잘 아는 한계점의 인식일 듯 합니다.
하지만 반복일지라도 포기하지 않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져볼 수 있는 키보드의 그 끝에서 무언가는 분명히 남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떠나보내고 또 만나고.. 반복되는 손 끝의 여행이지만 마음을 뉘일 수 있는 여정의 종착지는 분명 존재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언젠가 과거의 사용기에서 '키보드에 대한 즐거움은 여전히 ...ing' 라고 적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도 현재진행형의 즐거움인지 잘 모르겠군요.
들어섰으면 언젠가 떠나기 마련인 것이 자연의 섭리이고 보면 키보드 여정또한 그러하겠죠.
그래도 컴퓨터를 써야하고 환경이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 이상은 꽤 오랫동안 키보드를 써야 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열정이 사라졌더라도 최소한 즐길 수 있는 마음은 남겨두기 바랍니다.
2009년 5월과 6월 우리는 자신의 아이디에 근조의 띠를 둘렀고 슬픔을 이야기하고 괴로움의 술을 마셨습니다. 그렇지만 채팅창에서 눈웃음의 이모티콘을 서슴없이 날리는 우리의 모습이 절대 슬픔과 절대 기쁨도 없슴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던 것 같습니다. 키보드는 분명 이곳의 구심점이지만 전부는 아닙니다.
항상 입문하시는 분들이 과도하게 키보드에 집착하는 모습이 안타까울 때가 있습니다. 저역시 그러했을것이고 주변의 누군가도 그러했겠죠.
하지만 진정으로 바라는 것은 중독을 권하는 키보드와 그 집단의 모습이 아닙니다.
절대 슬픔도 절대 기쁨도 없는 세상에, 절대 키보드 따위는 없습니다.
모두가... 키보드에 중독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N.EX.T의노래 가사에 이런 게 있죠.
'병든자와 노인들은 한쪽 문으로 사라지고 또다른 문으로 지금 태어난 자들 들어온다'
열정을 잃은 자들이 사라지는 동호회의 또 다른 문으로는 지금 열정을 지닌 이들이 들어올 것입니다.
이 들고 나는 쳇바퀴같은 공간에서 생사를 가름할 정도의 정情을 논한다는 것은 어쩌면 어불성설일 것입니다.
"세상사람들에게 묻노니 정이란 무엇이길래 생사를 가름하느뇨?" 라고 묻는 이의 말끝은 개인주의가 정착되어가는 시점에 이제 봉합되어질 시대에 놓여있는 것도 사실이겠죠.
하지만 산다는 것이 주는 강팍함에 의해 '눈물에 옷자락이 젖어도 갈 길은 머나먼데 고요히 잡아주는 손 있어 (정태춘노래 <서해에서>)' 우리 서러움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이 여전히 이곳임을 상기할 필요는 있어보입니다.
넥스트가 노래하는 '퀘스천'의 문이 상징하는 것이 탄생과 죽음의 순환구조에 대한 질문이라면 우리가 문을 열고 들어선 이곳은 아무도 알 수 없는 내세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은 그냥 지금 이곳으로 끝날 것입니다. 하나의 기억으로 살아가는 짧은 생에서 들어선 문을 나섰다고 생각하지만 또다시 들어선 문 안의 세상은 언제나 같음의 반복이라는 인생의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달리 말하면 출구없는 문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 공간안에서 우리가 진심으로 잃지 말았으면 하는 것은 '온 마음을 다해' 존재해야 한다는 마음가짐이라고 생각해봅니다.
마음을 다해서 무언가를 한다면 진심은 통할 것입니다.
진심이 통한다면 정도 부차적이며, 키보드는 먼지처럼 부질없을 것이며, 진실은 저 너머가 아니라 손잡고 같이 가는 친구가 될 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당신이 지금 온 마음을 다해 무언가를 이야기한다면 그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귀가 있고, 영혼이 있습니다.
라틴어의 Sursum Coda는 온 마음을 다해라는 뜻이랍니다.
지금 이곳에 머물고 있고, 지금 이곳을 구성하는 일원이라고 스스로 생각한다면 언제나 모든 일에 온 마음을 다하기를 바래봅니다.


143F2443500D67E51F566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스토리 Minerva's OWl 님 글 발췌 -

Who's 아모하로

profile

A.87 아크릴 구흑65 

KMAC MINI 구흑58

LZ MX MINI 구흑55

356 MINI 레드 구백 62

MX MINI 아크릴 구흑55

코알라 실버 구흑62

라이트세이버v2 구흑55

B.MiNi 아크릴 구흑53

MX MINI 알루스킨 구백45

MX-MINI 아크릴 구흑40

A.87 알루스킨 구흑53

A.87U 아크릴 구갈53

NERD TKL 페라리 구흑57

 

 

 

 

- want... -

 

Lz Mx mini SE

 

  • profile
    muggs 2014.06.18 04:27
    재미있는글이네요. 즐겁게 읽어내려갔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붕붕이v 2014.06.18 06:27
    잘 읽었습니다. 다행히... 제 취향과는 안 맞아서 장터에서 적(고객)으로 만나지 않아도 되겠네요 ㅎㅎ
  • ?
    지노다 2014.06.18 10:14
    단편적으로만 보던 내용들인데, 정리해서 모아진 것을 보니 새롭네요.

    잘 봤습니다.
  • profile
    Desko 2014.06.18 11:49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 ?
    웨이브샷 2014.06.18 14:30
    흥미있게 읽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주관적인 시선으로 아주 잘 정리된거 같아 보기 좋네요 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22년 7월 1일부로 회원 정리 안내 12 아침에™⇔N² 2022.06.09 3327
공지 키보드랩 이용규정 아침에™⇔N² 2021.11.22 3582
공지 [공제/공구] 가격/품목 등 정보 61 철혈마제 2015.03.09 36411
공지 키보드랩 사용주의사항. 11 duck0113 2014.06.03 40402
» 과거의 커스텀 키보드들에 대한 글... 5 아모하로 2014.06.18 4989
4260 혹시 층간 소음에 고통 당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43 file 아유 2016.02.27 4985
4259 중국 구매 기본 상식 16 고구마군 2014.03.27 4853
4258 볼텍스 키캡 4 buzz 2014.01.08 4744
4257 게이트론 갈축이 구분감이 강하네요 8 file Revodono 2014.08.27 4673
4256 엘리트 키보드에서 키캡 질렀네요 9 에쏘 2014.12.11 4624
4255 플런저 키보드 추천부탁드려요 ^^ 3 file sdkfsdlkf 2014.02.12 4602
4254 SP사의 컬러링(컬러칩)을 가지신 분을 찾습니다. 4 SoWalk 2014.05.21 4583
4253 하코 936 도착하였습니다. 8 file Reid 2014.02.28 4509
4252 게이트론에 150g 황축(?)이 나왔습니다. 2 Revodono 2014.09.30 4416
4251 [시범이벤] 포커2 흑축 사용기 file 장비익덕 2014.01.14 4413
4250 매스드랍 그라나이트 1차 발송 7 버밀리언 2014.11.01 4383
4249 "갓원숭' 회원 키랩 영구정지 안내 7 RedZin™ 2017.10.26 4345
4248 HackRF, an open source SDR platform 8 file GOM⌘HHKB 2014.10.23 4340
4247 볼텍스 PBT 더블샷.. 26 file 노블환이 2014.01.22 4337
4246 TEX Yoda TrackPoint Keyboard 가격에 좌절 8 file 카이루토 2014.08.21 4307
4245 돌치 키보드의 스위치(구청?)는 고정용 핀(?) 굵기가 다르네요. 8 file 북다트 2014.01.06 4294
4244 체리사에서 새로운축인 MX Speed Silver Switch 테스트 중이라네요 13 file Ness7 2016.04.22 4279
4243 아 배고파요... 4 file SKPark 2014.01.12 4264
4242 타오바오에서 살것들 정리중! 22 IDㅇㅅㅇ 2014.03.05 4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6 Next
/ 216